'아랍의 봄' 진통 겪는 북아프리카, 이번엔 테러에 노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19 16:59:15
  • -
  • +
  • 인쇄
이슬람주의-세속주의 정파 간 갈등 틈타 무장세력 성장

'아랍의 봄' 진통 겪는 북아프리카, 이번엔 테러에 노출

이슬람주의-세속주의 정파 간 갈등 틈타 무장세력 성장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2011년 '아랍의 봄'을 거치며 격랑에 휩싸인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이번에는 극단주의 무장세력에 의한 테러에 잇따라 노출되고 있다.

북아프리카 국가에서 최근 테러 위협이 높아진 것은 독재정권 붕괴 후 이어진 이슬람주의와 세속주의 정파 간의 대립에 일정부분 원인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계속된 정정불안으로 각국 정부가 극단주의 세력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8일(현지시간) 박물관 총격 테러로 최소 21명이 사망한 튀니지에도 이슬람주의-세속주의 세력 간의 분열이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10년 말 '재스민 혁명'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튀니지는 비교적 순조롭게 민주화 이행과정을 밟았지만 아랍의 봄 직후 들어선 이슬람주의 성향 정부의 정책에 야권이 반발하면서 갈등이 이어졌다.

WP는 2014년 총선으로 일단락되는 듯했던 양측의 긴장이 이번 테러를 계기로 다시 고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튀니지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정권을 잡은 온건 이슬람주의 정파 '엔나흐다'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해 이번 테러에 빌미를 제공했다는 비난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2014년 말 들어선 세속주의 정권이 이번 테러를 핑계 삼아 이슬람 세력을 광범위하게 탄압할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튀니지 의회는 최근 치안부대에 힘을 실어주는 내용의 반(反) 테러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법이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국제앰네스티(AI) 튀니지 지부의 로트피 아주즈 지부장은 "최근 (테러 관련) 상황 악화는 극단주의 세력에 무심했던 엔나흐다의 책임"이라면서도 "(세속주의) 정부가 가혹한 조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번 테러를 이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경계했다.

이웃 리비아는 더 상황이 나쁘다. 2011년 민주화 시위로 무아마르 카다피 독재 정권이 붕괴되고 과도정부가 들어섰으나 이슬람 민병대와 세속주의 세력 간 대립으로 사실상 내전상태다.

이런 가운데 무장단체까지 난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슬람국가(IS) 연계세력이 기승을 부려 유전지대를 공격하고 이집트 콥트교도를 집단 참수하는 등 테러를 일삼고 있다.

이집트도 무바라크 독재 정권을 축출한 뒤 이슬람주의 정권이 들어섰다가 쿠데타로 군사정권으로 회귀한 상태지만 IS 연계세력의 테러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편 이와 별개로 북아프리카 국가에서 IS 등 무장단체에 가입하기 위해 시리아로 떠난 인원도 상당하다.

WP는 튀니지에서 3천명이 시리아로 간 것으로 추산되며 모로코인은 1천500여명, 리비아인은 600여명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이집트에서 360여명, 알제리에서 250여명이 시리아로 이동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