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36억원 소요 전망…"탄력적 운용으로 경비 절감"
![]() |
△ '대한민국 정부상징 새로 만듭니다'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원용기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이 17일 오전 서울 외교부청사 브리핑실에서 '대한민국 정부상징(GI)'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
알기쉽고 통일된 대한민국 정부상징 새로 만든다
10월 최종 선정해 2017년까지 원칙상 모든 기관에 적용
약 236억원 소요 전망…"탄력적 운용으로 경비 절감"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기자 = 정부가 알기쉽고 통일된 정부상징(GI)을 새로 만든다.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하는 상징을 개발하고 각 정부 기관들에 적용해 국민들이 명확하고 쉽게 식별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정부 이미지를 구현하겠다는 취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 국무회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국가상징체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문체부가 이달 1천1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의 53.6%는 부처 22곳의 상징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22곳중 평균 0.52개를 인식했다. 문체부는 부처별로 운영하는 별도의 상징체계로는 정부의 대표 이미지 형성이 어렵다는 점, 그간 사용해온 상징체계로는 국제관계에서 통용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개편의 이유로 꼽았다.
문체부는 올해 연말까지 심볼 마크와 전용서체, 색상 등 상징의 기본체계와 행정서식, 깃발, 내외부 사인물 등 핵심응용체계를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이달중으로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국민 인식조사를 기초로 상징 소재를 도출한 뒤 내달에는 한국학과 서체, 시각디자인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컨소시엄 업체 5개팀을 선정해 각각 개발 작업을 맡긴다. 8월 지정소재와 자유소재를 바탕으로 한 개발안이 마련되면 전시회와 공청회 등을 거쳐 10월중 최종 상징안을 선정한다.
새 상징체계는 경찰청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모든 국가행정기관에 적용할 방침이며 8월중 부처간 협의를 통해 대상 부처를 확정한다.
51곳에 이르는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경찰청과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을 제외한 43곳, 특별지방행정기관의 경우 총 5천222곳 가운데 지방 경찰청이나 우정청 등을 제외한 716곳이 일단 적용 대상이다.
내년 3월 문체부 시범적용을 시작으로 내년말까지 중앙행정기관과 특별지방행정기관, 2017년에 부속기관 및 기타 합의제 행정기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적용한다.
상징체계 개편에는 각 43곳의 중앙행정기관별로 5천만원, 716곳의 특별지방행정기관별로 3천만원을 책정해 계산시 총 236억여원이 소요되리란 전망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표지판과 건물 현판, 주차장 간판 등 표지물과 차량출입증, 온라인 서식 등을 우선 교체하고 내부용품은 기존 물품 소진시 교체하는 등 운영상 탄력성을 기해 소요 경비를 절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체부는 23일부터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및 전문 디자인업체 공모 사항을 공지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