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북도교육청 청사 |
전북교육청 방과후학교 강사료 삭감 지침 철회…신뢰 타격
'시간당 3만원→2만5천원' 추진…교사들 반발에 '없던 일로'
(전주=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전북교육청이 '보충수업'으로 불리는 방과후수업의 강사료를 삭감하라는 일방적인 지침을 내렸다가 일선 학교와 교사들의 강력한 반발에 지침을 철회했다.
방과학교 강사료 삭감은 '없던 일'이 됐지만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도교육청에 대한 신뢰감을 떨어뜨렸고 감싸줘야 할 대상인 교사들에게 오히려 상처를 줬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16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월 2일자로 '현직교사의 강사 참여를 지양하고 강사료는 시간당 2만5천원 이하에서 학교장이 결정하라'는 내용의 2015학년도 방과후학교 내부강사 강사료 지침을 학교에 내려보냈다.
즉 방과후수업을 할 때 현직교사는 가급적 배제하고 외부강사를 활용하되 수업료는 2만5천원 이하로 하라는 것이었다.
도교육청은 그 이유로 감사원에서 지적한 과다 강사료를 둘러싼 형평성 논란과 교사들의 수업부담 경감을 들었다.
하지만 전북도교육청은 '10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강사료를 시정하라'는 감사원의 지적을 '강사료가 너무 높다'는 뜻으로 잘못 이해하고 강사료를 기존 3만원에서 5천원을 삭감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하지만 이 지침은 일선학교, 특히 보충수업이 많은 고교와 일반 교사들의 큰 반발을 샀다.
외부 강사에게 수업을 맡겼을 때 떨어질 수밖에 없는 학습 능률 문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방과후수업을 추진하려는 것이었다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전주의 한 고교 교사는 "학습능률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어느 외부강사가 시간당 2만5천을 받고 보충수업을 하겠느냐"며 "결국 교사들에게 싼값에 봉사하라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익산의 다른 고교 교사는 "파김치 상태로 10년가량을 시간당 3만원을 받으며 희생했는데 이제는 5천원마저 삭감하려 했다"며 현실을 너무 무시한 발상이라고 푸념했다.
전교조 전북북지부도 지난 9일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사항에 대해 도교육청이 지침을 내린 것은 강사료를 (5천원) 삭감하기 위한 일방적이고 비민주적인 지침"이라고 가세했다.
비판이 커지자 도교육청은 내부 논의를 거쳐 지난 13일 '강사료 삭감을 철회하라'는 공문을 일선학교에 다시 보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감사원의 지적을 잘못 이해해 확대 해석한 측면이 있고 '10년 넘게 동결된 강사료를 깎는 것은 너무 박하다'는 교사들의 비판도 커 재지침을 보냈다"며 사실상 잘못된 행정지침이었음을 인정했다.
도교육청의 다른 관계자는 "강사료에 대한 교사들의 불만을 이해하지 못한데서 문제가 생겼다. 교사들이 마치 돈 때문에 방과후수업을 하는 것처럼 비쳐져 고생하는 교사들의 자존감을 떨어뜨린 측면이 있다"며 내부 논의를 거쳐 지침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