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조연설하는 북한 리수용 외무상 (제네바=연합뉴스) 류현성 특파원 = 남북이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28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문제를 둘러싸고 격돌했다. 사진은 북한 리수용 외무상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기조연설하는 모습. 2015.3.4 rhew@yna.co.kr |
北외무상 인권이사회 참석때 외무성 부상은 인권이사국 순방
北, 인권이사국 개별방문…유엔 북한 인권 문제에 전방위 대응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북한 리수용이 최근 북한 외무상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가운데 비슷한 시기에 북한 외무상 부상은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들을 순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0일 보도에서 시리아에 방문했다고 밝힌 신홍철 북한 외무성 부상은 시리아 방문에 앞서 아프리카의 케냐, 에티오피아, 코트디부아르를 순방했다고 복수의 정부 소식통이 15일 전했다.
북한 외무성에서 비동맹 외교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홍철이 찾은 이들 3개국은 모두 현재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신 부상은 이들 국가에서 카운터파트와 만나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표결시 반대표를 행사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신홍철 순방과 비슷한 시기인 지난 3일(현지시간) 리수용은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탈북자 신동혁씨의 일부 증언 번복과 관련, "최근 (북한 인권) 조사보고서의 기초가 됐던 핵심증언이 거짓으로 판명돼 유엔 인권이사회와 유엔총회의 반공화국 인권결의들의 허위성이 여지없이 입증됐다"면서 결의안을 무효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매년 3월 유럽연합(EU) 등이 제출한 북한 인권 결의안을 채택하고 있다. 올해도 이달 하순에 북한 인권결의안을 상정할 예정이다.
이 결의안에는 유엔총회 제3위원회와 전체회의에서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통과된 북한 인권 결의안과 마찬가지로 북한 인권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해야 한다는 문구가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 3월 채택된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에 '국제 사법 메커니즘'으로 표현된 것을 유엔총회에서의 결의안과 마찬가지로 ICC로 명기하는 것이다.
정부 내에서는 북한 외무상과 부상이 비슷한 시기에 북한인권 결의안 채택을 저지하려는 차원의 '쌍끌이 외교'에 나선 것은 유엔 내에서 북한 인권 문제 논의가 심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유엔에서 채택된 북한 인권 결의안에는 북한 김정은의 이름이 명시돼 있지는 않으나 북한은 북한 인권 상황을 ICC에 회부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이른바 '최고 존엄'에 대한 문제로 보고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 이후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 개선 요구의 강도가 '북핵 문제'와 비교될 정도로 매우 높아졌다는 점에서 북한의 이런 노력이 별 효과는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게 정부 안팎의 대체적 관측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