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장관 "日, 위안부 문제 인정·사과·반성교육 해야"
"광복 70주년에 위안부 관련 기록, 유네스코 유산 등재돼야"
(유엔본부=연합뉴스) 이강원 특파원 =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광복 70주년이자 유엔 창설 70주년인 올해에는 반드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제59차 유엔 여성지위위원회(CSW) 전체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한 김 장관은 이날 낮 한국 뉴욕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장관 취임 이전 국회의원 당시부터 위안부 관련 기록의 유네스코 등재 방안을 제안한 김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인류보편적 가치인 전시 여성인권문제와 직결된 만큼 인류사에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는 교훈을 지닌 자료로 삼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가 일본에 요구하는 것은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진정으로 사과해야 하며, 다시는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후대에 올바른 역사교육을 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군 위안부 문제를 단순한 배상 차원의 문제로 몰고 가 축소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김 장관은 오후 유엔 여성지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국은 1996년 제정한 여성발전기본법을 2015년 7월부터는 '양성평등기본법'으로 확대해 적용할 계획"이라며 "이는 남성과 여성이 조화로운 발전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실생활에서 양성평등 정책 개발 추진이 가능하도록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를 예산에 의무적으로 반영하는 '성인지 예산제도'가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에서 시행된다고 국제사회에 소개했다.
유엔 여성지위위원회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산하의 정책개발위원회다. 세계 각국과 관련 국제기구,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여성 권익의 증진방안을 공유하는 총회를 해마다 열고 있다.
유엔 여성지위위원회 전체회의에 앞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면담한 김 장관은 '여성의 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한 장관급 원탁회의에 참석하며, 11일에는 유엔본부 인근 뉴저지 주에 세워진 위안부 기림비를 방문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