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대중교통 자주 이용하면 10% 요금 할인 추진
7월부터 환승요금 폐지, 2020년까지 간선도로 급행버스 도입
(부산=연합뉴스) 민영규 기자 = 부산시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시민에게 요금의 10%가량을 할인해주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교통카드로 매월 일정 금액 이상을 대중교통비(경전철 제외)로 지출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할인 기준과 관련 기술을 검토한 뒤 내년에 시민 의견수렴을 거쳐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시는 이에 앞서 오는 7월부터 50∼200원인 대중교통 환승요금을 폐지하고 2018년까지 가야로, 백양로 등지에 시내버스 전용차로 21㎞를 추가로 신설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내년부터 2020년까지 도심의 모든 왕복 6차로 이상 간선도로 36.4㎞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뼈대로 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도입하기로 했다.
버스노선도 환승 효율을 높이는 쪽으로 대폭 개편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이를 통해 현재 42.4%에 그치는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2020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같은 대중교통 활성화 대책이 별다른 효과가 없으면 2017년부터 출·퇴근 시간에 차량이 많이 몰리는 황령터널과 동서고가로 등지에서 나홀로 차량에 대해 교통혼잡통행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을 찾은 민원인에게 주던 1시간 무료주차 혜택을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시내버스의 평균 주행속도가 시속 30.6㎞로 승용차(41.2㎞)에 크게 뒤지는 상황을 개선하기로 했다.
부산시가 이처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온 힘을 기울이는 것은 현재 21.5%인 도로율을 1% 포인트 높이는 데 1조3천억원이나 들지만 차량 증가로 교통체증은 오히려 심화한다는 판단에서다.
시내버스 준공영제와 환승할인에도 출·퇴근 시간에 통행하는 차량의 64%가 승용차이고, 이 가운데 75%가 나홀로 승용차로 분석됐다.
이 때문에 대중교통 정책에 따른 적자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3천180억원으로 추산됐다.
부산시민의 1인당 연간 혼잡비용도 113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라고 분석됐다.
부산시는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려면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보고 3일 서병수 시장, 이해동 부산시의회 의장, 운수업체와 시민단체 대표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중교통 중심도시 부산 구현을 위한 범시민 참여 선포식'을 열었다.
또 매주 수요일을 '대중교통 이용의 날'로 지정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로 했다.
부산지방경찰청은 교통 사망사고를 2013년(자동차 1만 대당 1.74명)의 절반(1.08명)으로 줄이는 다양한 활동과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시민의 10%만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만들어도 4천288억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면서 "올해를 대중교통 중심도시 원년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