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구조개혁평가서 학생 상대평가 지표 완화
교육부, '성적 분포의 적절성' 지표 삭제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최근 대학들이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무리하게 상대평가를 강화하는 일이 잇따르자 교육부가 관련 평가 지표를 삭제했다.
2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부는 대전의 한 호텔에서 '2015년 대학구조개혁 평가 대학 담당자 설명회'를 열고 지난해 12월 대학구조개혁 기본계획을 발표한 이후 수정된 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학사평가 지표에서 배점이 1점이었던 '성적 분포의 적절성'을 삭제하는 대신 '엄정한 성적 부여를 위한 관리 노력'의 배점을 기존 3점에서 4점으로 올렸다.
'성적 분포의 적절성'은 대학들이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높은 점수를 주는 이른바 '성적 부풀리기' 현상을 막기 위한 지표로 이해됐다.
그러나 대학들은 대학구조개혁에서 좋은 점수를 받으려고 갑자기 상대평가를 강화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특히 한국외대는 2014년 2학기부터 전 과목을 대상으로 상대평가를 하겠다고 뒤늦게 발표했다가 학생들과 큰 갈등을 빚었고, 동국대도 교육·전공기초 과목의 성적 등급 비율을 깐깐하게 조정했다.
이밖에 중앙대는 재수강 시 받을 수 있는 최고학점을 하향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숙명여대도 상대적으로 성적을 얻기 쉬운 교양과목의 이수를 줄이는 노력에 나섰다.
교육부 관계자는 "'성적 분포의 적절성'이라는 표현은 상대평가를 해야만 점수를 많이 준다는 오해를 줄 여지가 있다"며 "애초 취지대로 대학들이 여건에 따라 학생들의 성적을 적절하게 주는지 평가하자는 의미에서 그 표현을 삭제했다"고 말했다.
국공립대 전임교원 확보율 점수 산출 방식, 전임교원 보수수준 등의 지표도 일부 수정됐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각 대학이 정성평가용 자체평가보고서를 제출하는 기한을 애초 3월 하순에서 4월 3일로 연장했다.
또 1단계 평가에서 현장평가를 대학 관계자들이 평가 장소로 찾아오는 인터뷰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교육부는 현장평가가 대학에 지나친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해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일반대학과 전문대에 대한 구조개혁평가 결과를 오는 8월 말 확정한 뒤 5개 등급을 매기며 하위등급에는 재정지원 참여를 제한하고 정원 감축을 유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