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쿠바 국교정상화 2차 협상…테러지원국 해제 이견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8 03:22:18
  • -
  • +
  • 인쇄
쿠바 "먼저 해제해야" vs 미국 "협상과 별개 사안"
오바마-라울 카스트로, 4월 미주정상회의서 만날 듯

미국-쿠바 국교정상화 2차 협상…테러지원국 해제 이견

쿠바 "먼저 해제해야" vs 미국 "협상과 별개 사안"

오바마-라울 카스트로, 4월 미주정상회의서 만날 듯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과 쿠바의 외교관계 완전 정상화를 위한 고위 당국자 간 2차 협상이 27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재개됐다.

이번 협상은 지난달 쿠바에서 열린 1차 협상에 이은 것으로, 쿠바 테러지원국 해제 문제가 가장 큰 쟁점인 것으로 알려졌다.

쿠바는 국교정상화를 위해서는 테러지원국이 먼저 해제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미국은 여전히 별개 사안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이날도 협상 시작에 앞서 "테러지원국 해제 문제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 별개 절차를 거쳐 검토할 사안"이라면서 "테러지원국 해제 여부에 대한 평가작업이 끝날 때까지는 테러지원국 명단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쿠바협상팀 일원인 쿠바 외교부의 구스타보 마친은 "테러지원국을 그대로 두는 것은 완전한 외교관계 회복과 모순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날 2차 협상에서도 합의점이 마련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앞서 지난달 21∼22일 쿠바 수도 아바나에서 국교 정상화를 위한 첫 실무협의를 가졌으나 대사관 개설 등의 구체적인 합의를 끌어내지는 못했다.

양국은 당시 인권, 이민문제 등을 놓고 큰 견해차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지난해 12월 17일 53년 만의 역사적인 국교 정상화를 선언했으며 미국은 이를 실행에 옮기는 첫 조치로 지난 16일부터 쿠바와의 무역 및 금융거래 제한을 대폭 완화하고 여행 자유화를 확대했다.

미국이 쿠바와 외교 관계를 단절한 것은 1959년 1월 피델 카스트로가 혁명을 통해 공산당 정부를 수립한 지 2년 만인 1961년 1월이다.

한편, 오는 4월 10∼11일 파나마에서 열리는 미주정상회의에 오바마 대통령과 카스트로 의장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두 사람 간의 첫 만남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고 미 언론이 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