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잇단 논란속 월성1호기 재가동 심사 계속(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6 16:55:52
  • -
  • +
  • 인쇄
환경운동연합·월성 주민, '결격 논란' 조성경 위원 기피신청
△ 원안위 개회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이은철 위원장이 개회를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원안위, 잇단 논란속 월성1호기 재가동 심사 계속(종합)

환경운동연합·월성 주민, '결격 논란' 조성경 위원 기피신청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이은철, 이하 원안위)가 26일 설계수명 30년이 끝나 2012년 12월부터 가동이 중단된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 심사에 나섰으나 논란이 거듭되고 있다.

원안위는 이날 오전 10시 대회의실에서 이은철 위원장 등 상임·비상임위원 9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제35회 전체회의를 열어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 심의에 들어갔으나 각종 논란으로 논의에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날 늦게까지 진행될 전망이다.

이날 회의는 표결처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의당 김제남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최원식·송호창 의원,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 등이 방청하고 환경단체와 월성 주민, 한수원 관계자 등 50여명이 지켜보는 등 큰 관심 속에 시작됐으나 진행은 초반부터 순조롭지 못했다.

월성 주민과 환경운동연합 등은 ㈜한국수력원자력 원전 부지선정위원으로 활동한 사실이 드러난 조성경 원안위원에 대해 "심사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진행하기에 부적절하므로 심의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청"하는 기피신청을 원안위에 접수했다.

하지만 이은철 위원장과 다수 위원은 조 위원의 자격 논란은 "법원의 판단에 맡기자"면서 기피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환경운동연합과 월성 주민 10명은 조 위원이 2011년 11월까지 부지선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것은 원안위원이 될 수 없는 결격사유라며 전날 서울행정법원에 조 위원에 대한 임명 무효 확인 소송 및 효력정지 신청을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월성원전 1호기의 원자로 격납건물 안전기준(R-7) 적용 문제도 논란이 됐다.

R-7은 월성 1호기와 같은 캔두(CANDU)형 중수로 원전을 운영하는 캐나다 정부가 1991년부터 원자로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 상황에 대비해 격납용기 안전장치를 강화하도록 한 안전기준으로 월성 2·3·4호기에만 적용되고 1호기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특히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김익중 원안위원의 질의에 월성 1호기 주증기배관이 안전성이 떨어지는 '개방계통'임에도 이중 차단 조치가 필요 없는 '폐쇄개통'이라고 사실과 다르게 답한 것이 드러나 논란이 증폭됐다.

잇단 논란으로 논의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원안위가 결정을 다시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 위원은 "표결에 대한 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려 있어 표결 여부는 위원장 판단에 달려 있다"며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정의당의 천호선 대표와 심상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월성1호기 폐쇄 요구안을 원안위에 전달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