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4대강 전구간 생태공간 재조사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5 12:00:22
  • -
  • +
  • 인쇄
환경부, 4대강 후속조치…오염물질 배출량 할당 '지류총량제' 시범사업


내년까지 4대강 전구간 생태공간 재조사

환경부, 4대강 후속조치…오염물질 배출량 할당 '지류총량제' 시범사업



(세종=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환경부는 다음 달 낙동강 상류를 시작으로 내년 말까지 4대강 전 구간의 생태공간에 대한 생태조사와 재평가를 끝내기로 했다.

또 매년 반복되는 녹조를 막기 위해 연내에 댐과 보·저수지 최적연계 운영방안을 도출하기로 하고 내달 용역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작년 12월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에서 제기한 12개 환경 개선과제에 대한 후속조치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간다고 25일 밝혔다.

우선 내년까지 공원·하천·습지 등 4대강 생태공간에 대한 전수 조사를 한다. 현재 4대강 주변에는 생태공원 357곳, 생태하천 321곳, 생태습지 147곳이 있다.

4대강 조사위는 4대강 내에 생태공원이 획일적으로 조성돼 수변부 직선화나 하중도 및 모래톱 상실로 서식처 다양성이 훼손되는 등 생태적 특성이 고려되지 못했고, 하천 환경에 부적합한 수종이 다수 식재됐다고 지적한 바 있다.

조사는 국립생태원 내에 생태기술지원센터를 만들어 시행하기로 했다.

국립생태원은 생태공간의 기능유지 및 운영의 적정성,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서식현황, 어도 등에 대한 조사를 거쳐 생태공간별 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한다.







녹조 예방을 위해서 환경부·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가 공동으로 올해 말까지 댐과 보·저수지의 최적연계 운영방안을 제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한 연구용역을 내달 말 공개 입찰할 계획이다.

4대강 조사위는 녹조 방지를 위해서는 하천유지 유량 증가와 보 관리수위 조절을 동시에 적용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오염이 심한 지류의 수질 개선을 위해 인(T-P) 등 다양한 오염물질에 대한 배출량을 할당해 지자체와 사업자가 책임 관리하는 지류총량제도 시범운영된다.

당장에는 낙동강 수계 중 오염이 심한 지류 2∼3곳을 4월 초까지 선정해 시범운영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류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한 번 더 처리하기 위해 지류 끝에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한다. 올해는 함안보 유입지류인 계성천에 시범조성 중이다.

이 밖에도 4대강 주변의 지하수 오염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지하수 관측망을 확충해 하천수위 상승에 따른 지하수질 변화 여부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