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독일, 중세 보물 헐값에 강압 매입"…유대인 4명 소송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5 11:47:23
  • -
  • +
  • 인쇄
독일정부 상대로 美법원에 3억 달러어치 '보물' 반환 요구


"나치독일, 중세 보물 헐값에 강압 매입"…유대인 4명 소송

독일정부 상대로 美법원에 3억 달러어치 '보물' 반환 요구



(베를린 AFP=연합뉴스) 독일 나치 치하 유대인 미술품 거래상의 후손들이 독일 정부를 상대로 2억5천만~3억 달러(약 2천764억~3천317억원) 어치의 중세 보물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고 변호인들이 24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과 영국 국적의 유대인 후손들이 지난 23일 미국 워싱턴 법원에 제기한 반환소송 대상에는 '겔프 보물'(일명 벨펜샤츠)로 불리는 금, 은, 보석이 박힌 교회 유물 40여 점이 포함돼 있다.

이를 놓고 지난 2008년부터 법적 다툼이 벌어졌으며 이번 소송은 독일 정부와 프로이센 문화유산 재단을 상대로 한 것이다. 프로이센 재단에서는 현재 베를린 박물관에 이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베를린에서 이번 소송 설명회를 연 미국 변호인들은 유대인 미술품 거래상 4명이 1935년 나치의 압력으로 정상가격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말도 안 되는 거래"를 해야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변호인 니콜라스 오도닐은 "이 보물을 소유한 유대인들은 그들 자신과 가족의 생명이 경각에 달려 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내놓아야 했다"고 말했다.

이번 소송 제기자들은 "나치 독일 치하에서 이뤄진 거래가 강제적이고, 무효화할 수 있으며, 타당한 것으로 간주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 측은 유대인 거래상 4명이 당시 헤르만 괴링이 통치하던 프로이센 주로부터 공정한 대가를 받았다고 맞서고 있다. 괴링은 비밀경찰 게슈타포 창설자이자 독일 공군사령관이었다.

나치 약탈 추정 미술품에 대한 독일 측 자문기구인 '림바흐 위원회'는 지난해 3월 '강압적으로 이뤄진 거래'라는 증거가 아무것도 없다며 거래 가격은 '1929년 검은 목요일' 사태 이후의 정상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결정이 법적 구속력을 갖지 못하는 이 위원회는 또 1935년 거래 당시 양쪽 모두 자발적으로 동의했다며 그때 이 보물들은 나치 손길이 미치지 않은 암스테르담에 있었다고 덧붙였다.

프로이센 재단 측도 "이번 소송 제기에 놀랐고 실망했다"며 림바흐 위원회의 '권고'를 재검토해야 할 어떤 새로운 증거도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현재 베를린 박물관 장식 미술품관에 전시 중인 겔프 보물은 11세기에서 15세기에 원래 80점이 제작됐다.

이 중 여러 점을 1929년 독일 브라운슈바이크(영어명 브런즈윅) 공작이 유대인 컨소시엄에 팔았다.

한편 베를린 시 당국은 지난주 겔프 보물이 독일 교회 미술품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공공 소장품으로, 국외로 반출할 때 문화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국가 보호 유산으로 지정돼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