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측근들 잇달아 '전범단죄' 도쿄재판 흔들기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4 23:38:30
  • -
  • +
  • 인쇄
△ (도쿄 교도=연합뉴스.자료사진)이나다 도모미(稻田明美·) 자민당 정무조사회장

아베 측근들 잇달아 '전범단죄' 도쿄재판 흔들기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2차대전 종전 70주년을 앞둔 올해 들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측근들이 일본인 A급 전범을 단죄한 극동군사재판(도쿄재판)에 '도전'하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아베 총리가 '여성 총리감'으로 평가하는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24일 자신의 정치자금 모금행사에서 도쿄재판에 대해 "판결 주문은 받아들이지만 (판결의) 이유에 대한 판단까지 구속될 까닭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이나다 정조회장은 이어 "도쿄재판에서 사고가 정지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손으로 (역사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이에 앞서, 아베 총리의 또 다른 핵심 측근인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은 지난 11일 야마구치(山口) 현 시모노세키(下關) 시에서 행한 강연에서 "일본에서는 국회의 결의에 의해 전범 명예가 회복됐으며 (전범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베 측근들의 최근 발언은 결국 도쿄재판이 승전국에 의한 '정치적 단죄'라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2차대전 종전 이듬해인 1946년 1월 설치된 극동군사재판소는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등 전쟁 수행의 핵심 관계자 25명을 유죄로 인정, 7명에게 사형, 16명에게 종신형, 1명에게 금고 20년, 다른 1명에게 금고 7년을 각각 선고했다.

일본은 도쿄재판을 받아들이는 것을 전제로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독립국의 지위를 회복했다.

아베 총리도 총리 재임 중인 2013년 3월 도쿄재판에 대해 "연합국 측이 승자의 판단에 따라 단죄했다"고 말해 파문을 일으켰다.

이날 이나다 정조회장은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사죄와 반성 문구를 담을지 여부가 주목되는 아베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에 대해 "아베 총리의 담화이기 때문에 아베 총리에게 맡겨야 한다"며 국회 및 연립여당 내부의 논의를 거칠 필요가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