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그래 지킴이' 자임 추미애, 경제민주화 '재건' 기치
'경제민주화기본법' 당론 추진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비정규직 보호에 앞장섰던 새정치민주연합 추미애 최고위원이 이번엔 경제민주화의 '기수'를 자임하고 나섰다.
추 최고위원은 2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경제민주화 추진 부처 신설을 골자로 한 '경제민주화기본법'을 당론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민주화기본법은 국무총리 산하에 '경제민주화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장에게 실태 조사권 등 관련 제도와 법령 개선을 담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으로, 추 최고위원이 지난해 1월 의원 104명의 서명을 받아 대표 발의했다.
빈부격차 등 양극화 해소가 시대적 과제로 다시 부각되는 상황에서 1년간 국회에서 잠자고 있던 경제민주화법을 일으켜세움으로써 국민에게 수권정당의 면모를 보여주겠다는 게 추 최고위원의 각오이다.
그는 "금융, 조세, 주택, 보육 등 다양한 정책의 경제민주화 지수를 매겨 각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인도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며 "여야를 가리지 않고 경제민주화에 관심을 가진 의원들과 자주 만날 것"이라며 법안 관철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차별을 해소하는 '공정임금제'도 경제민주화기본법과 병행할 필수 추진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지난 2009년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으로서 사회권을 동원, 당시 한나라당은 물론 당 지도부와도 불협화음을 내는 강수까지 두며 이명박 정부의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 법안을 저지한 바 있다.
이명박 정부는 연장안이 시행되지 않으면 100만명이 일자리를 잃는, 이른바 '추미애 실업대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연장안 무산 후 보고된 실업 건수는 추정치의 0.5%인 5천명을 밑돌았다.
추 최고위원은 이번에도 비정규직 근로기간을 현행 2년에서 4년으로 늘리는 정부의 비정규직 종합대책에 반대하며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나섰다.
그는 지난 5일 '장그래 구하기, 해법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정부의 비정규직 대책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그는 "6년 전 환노위원장 시절 정치권에서 처음으로 비정규직 문제를 정치 의제로 끌어올린 것이 계기가 돼 비정규직 해소가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됐다"며 '장그래' 구하기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문재인 대표 체제에서 지명직 최고위원을 맡게 된 그는 당내 고질적인 계파 갈등 해소에도 역량을 발휘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에서 태어났지만 호남 출신과 결혼해 '호남의 며느리'로 불리는 그는 2003년 여권 분열 때 열린우리당에 가지 않고 민주당을 지키며 선거를 진두지휘해 '추다르크'라는 애칭도 얻었다.
그는 "재집권을 위해 국민에게 안정감과 신뢰를 줄 수 있는 정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당에서 중심추 역할을 맡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