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황사 늘어나는 경향…올봄에는 예년 수준"
![]() |
| △ 미세먼지 주의보 내린 부산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중국에서 밀려온 황사로 23일 오전 부산 도심이 뿌연 미세먼지로 뒤덮여 있다.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은 이날 오전 9시를 기해 강서구와 북구, 사상구 사하구 일대에 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했다. |
전국 황사특보…5년 만에 최악 '겨울황사'(종합2보)
중국발 흙먼지 저기압에 상승, 북서풍 타고 날아와
"겨울황사 늘어나는 경향…올봄에는 예년 수준"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중국에서 날아온 흙먼지가 한반도를 뿌옇게 뒤덮었다.
23일 오후 경남 해안과 전라도를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황사주의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는 짙은 황사가 관측되고 있다.
황사가 주로 봄에 발생했던 것과 달리 이번 황사는 겨울에 발생한데다 지속기간도 길고 강도도 강해 다소 이례적으로 여겨진다.
◇ 이례적인 겨울 황사…역대 5번째로 강한 수준 = 이날 오전 4시 서울의 미세먼지(PM10) 농도는 1천44㎍/㎥까지 치솟았다.
'겨울 황사'로는 963㎍/㎥까지 올랐던 2009년 12월 25일 이후 가장 높은 미세먼지 농도를 기록했다.
서울에 황사경보가 내려진 때는 미세먼지 농도가 2천311㎍/㎥를 기록했던 2006년 4월 8일을 포함, 2010년 11월 11일(1천493㎍/㎥), 2007년 4월 1일(1천233㎍/㎥), 2008년 5월 30일(1천59㎍/㎥) 등 총 8번이었다.
이번 황사는 미세먼지 농도가 자료로 축적된 2002년 이후 2008년 5월 30일에 이어 5번째로 높은 수치다.
보통 우리나라에 황사가 발생할 때는 발원지의 상태와 강한 저기압, 바람, 고기압 등 4가지 조건이 맞을 때다.
이번 황사는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내몽골 고원, 북동부 지역의 최근 일주일간 강수량이 1㎜에 그치는 등 발원지에 먼지가 일어난 상태에서 상층에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먼지가 이동함에 따라 시작됐다.
가벼워진 공기가 발원지의 흙먼지를 지상 2.5㎞ 이상 높이의 공중에 띄웠고, 강한 북서풍이 이를 우리나라 상공까지 끌고 왔다. 여기에 한반도의 고기압이 이 흙먼지를 아래로 내려 대기 중에 황사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김현경 기후예측과장은 "고비사막과 내몽골고원, 북동지역의 2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도 평년보다 적어 발원지에서 황사가 발발하기 좋은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우리나라 주변에 정체된 고기압으로 인해 하강기류가 만들어지면서 먼지가 낙하해 어느 때보다 강하고 오래가는 황사가 만들어졌다.
◇ 겨울 황사 잦아지는 경향…올봄 황사 예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 = 1981년부터 2010년까지 황사가 나타난 때는 1월 0.2회, 2월 0.1회, 3월 1.8회, 4월 2.4회, 5월 1.0회, 11월 0.2회, 12월 0.4회로 주로 봄철에 발생했다.
흔한 편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겨울 황사는 점차 잦아지는 추세다.
황사가 발발하는 4가지 조건 가운데 겨울철 관건은 발원지의 상태다. 보통 겨울에는 땅이 얼어 있거나 눈으로 덮여 있어 흙먼지가 잠잠하지만, 최근 들어 기온이 높아지면서 흙먼지가 쉽게 일어날 수 있게 만들었다.
올해는 시작이 이르긴 했지만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발원지에서의 눈덮임이 평년보다 적고 고온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우리나라 주변으로 남동∼남서류가 주로 나타나 황사가 유입되기 어려운 기류조건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언제라도 황사가 발발할 수 있는 4가지 조건이 딱 맞아떨어진다면 지금처럼 강한 황사는 언제라도 올 수 있다.
김현경 과장은 "황사가 발생한다면 북쪽의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3월 상순일 것"이라며 "이후에는 남풍계열이 불기 때문에 황사가 발원하더라도 흙먼지가 우리나라까지 오지 않고 중국 안에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황사는 점차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4일까지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가 안정되면서 옅은 황사가 나타나는 곳이 있겠다고 기상청은 전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