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위로 뜬 대구 취수원 이전 논의…현실성 있나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3 09:15:01
  • -
  • +
  • 인쇄
국토부 2개 방안 모두 구미시민의 협조 필요
△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에 있는 대구 매곡정수사업소 전경. 대구시는 이곳에 있는 낙동강 취수원을 경북 구미 상류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수면 위로 뜬 대구 취수원 이전 논의…현실성 있나

국토부 2개 방안 모두 구미시민의 협조 필요



(대구·구미=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대구 취수원 이전과 관련한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대구 취수원의 경북 구미 이전에 타당성이 있다는 검토용역 결과를 공개한 데 이어 구미시와 대구시가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하면서 부터다.

논란에 이해당사자인 대구시와 구미시뿐만 아니라 정치권과 환경단체까지 가세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 취수원 문제를 해결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실제로 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 국토부 2가지 방안 제시

국토교통부가 지난 12일 두 가지 안이 타당성 있다고 결론지은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하나는 구미에 있는 해평취수장으로 대구취수장을 이전하는 안이다.

해평취수장은 구미·칠곡(일부)·김천(일부)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광역취수장이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한다.

이곳으로 취수장을 이전하면 대구시는 수질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구미시는 기존 취수장을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 규제가 없다.

구미에서 대구까지 관로 55㎞ 매설에 따른 비용 등으로 모두 3천300억원이 든다.

그러나 가뭄이 들면 수량이 크게 줄고 수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구미시로서는 아무런 이득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반면 대구 취수원의 상수원보호구역이 해제되는 등 대구시에는 각종 혜택이 돌아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구시가 구미시에 취수장 이용료를 내거나 다른 대가를 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국토부의 두 번째 제시안은 구미지역 강변여과수 개발이다.

구미 낙동강변에 물을 모으는 우물(취수정)을 설치해 하천 바닥의 모래층을 뚫고 여과한 물을 상수원으로 쓰자는 것이다.

취수장 건립과 관로 55㎞를 건설하는 데 따른 사업비가 4천900억원이 든다.

강변여과수를 개발하면 물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취수정 주변이 오염돼 있거나 주변 농경지에 비료·농약이 사용되면 수질을 장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초기 투자비와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들며, 지반 침하나 주변 지하수 고갈에 따른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해평취수장 이용과 마찬가지로 대구시는 각종 혜택을 얻지만 구미시는 별다른 혜택이 없다.

◇ 수치 오락가락…조사 결과 곳곳 한계

국토부는 대구취수원 이전사업 타당성조사 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그동안 대구취수원 이전을 주장해 온 새정치민주연합 홍의락 국회의원이 지난 12일 국토부로부터 '경북·대구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보고서'를 받아 보도자료로 발표했을 뿐이다.

구미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이번 조사를 국토부와 대구시의 꼼수라고 비판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조사 결과에 허점도 보였다.

'대구취수원구미이전 구미시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초에 관계기관과 협의하면서 대구의 강변여과수 개발비를 4천300억원이라고 했다가 올해 2월에 1천300억원으로 바꿨다.

수천억원이 오락가락하는 수치를 믿을 수 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만약 대구에 1천300억원을 들여 강변여과수를 개발하면 구미에 강변여과수를 개발(4천900억원)하거나 해평취수장을 함께 쓰는 것(3천300억원)보다 훨씬 적은 비용이 든다.

당연히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 요인도 없어진다.

그럼에도 국토부가 이런 방안을 제시하지 않은 점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 구미지역 시민단체의 의견이다.

이동식 구미YMCA 사무총장은 "국토부 보고서를 보면 조사가 엉터리란 것이 곳곳에서 드러난다"며 "지역갈등이 아닌, 낙동강을 살리고 대구시민도 안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구 취수원을 다변화하고 구미도 수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강변여과수 개발 방식이 만능 해결사가 아니란 점을 지적한다.

국토부가 제시한 하저터널 방식은 하천 옆에 취수정을 설치하는 일반 강변여과수 개발 방식과 달리 하천 바닥에 터널을 만드는 시스템이다.

국내에서 한 번도 적용한 적이 없어 검증하기 어렵고 비용을 산정하기도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해 대구경북녹색연합은 성명을 통해 "투자비용과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모되고 특허와 관련돼 이해관계가 발생할 수 있는 등 문제가 많다"며 "취수정을 설치해 강변여과수를 도입한 김해시는 취수물량이 계획에 미치지 못해 시공사와 소송 중이고, 창원시도 강변여과방식의 수질과 수량이 계획에 미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대구시가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려면 구미시민을 설득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특별한 대책 없이 구미에 희생만 강요하는 방식으로는 매듭을 풀 수 없다는 것이 구미시민의 중론이다.

결국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는 방안은 실행하기 어려워 보인다.

김부섭 대구시 녹색환경국장은 "구미시와 원만하게 합의해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는 것이 대구시 바람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