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조기인상론 불식…"인내심 필요" 한목소리(종합)
1월 FOMC 회의록 공개…전문가들 "6·9월이나 내년초 단행" 예측 제각각
(워싱턴=연합뉴스) 강의영 특파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 입안자들은 조기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 전반과 금융 시장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면서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나타났다.
연준이 서둘러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조기인상론이 다소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실은 연준이 18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밝혀졌다.
회의록은 "많은 FOMC 위원은 예상보다 이른(premature) 금리 인상이 명백하게 견고한 경제 활동 및 고용 상황의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으며 연준의 목표(완전고용 및 물가안정)를 향한 진전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고 소개했다.
섣불리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미국 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내심'(patient)이라는 단어를 삭제하면 금융 시장의 과민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연준은 지난달 27∼28일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현행 제로(0) 수준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금리 인상을 결정하기 전 인내심을 발휘하기로 위원 10명 만장일치 의견으로 결정했다.
연준은 2008년 12월부터 6년 이상 기준금리를 0∼0.25%로 책정하고 있다.
회의록은 또 위원들이 달러화 강세나 지나치게 낮은 물가상승률이 경제와 연준의 정책 결정에 미칠 영향과 중국의 성장 둔화, 중동 지역과 우크라이나의 긴장 고조 등이 미국 경제 전망에 주는 하방 위험 등에 대해서도 토론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실업률 하락에도 임금 상승이 미약하다거나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2%)보다 너무 낮다는 지적도 나왔다.
위원들은 여러 경기·고용 지표에 근거해 적절한 통화정책 정상화(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결정하기로 했으나, 정확하게 어떤 데이터를 토대로 돌입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록은 "참석자들은 금리 인상 기준이 될 경제 지표나 그 가중치를 미리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동의했다"고 전했다.
이는 미국 상무부나 노동부가 최근 발표하는 여러 경기·고용·물가 통계를 놓고 연준 위원들이나 시장 전문가들이 낙관적 전망부터 부정적 예측까지 저마다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는데다 대외적으로도 경제 또는 지정학적인 리스크가 상존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다음 FOMC 회의는 다음 달 17∼18일 이틀간 열린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해 12월 FOMC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적어도 향후 두 차례 회의, 즉 지난달 회의와 3월 회의에서는 정책 변경이 없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 바 있다.
대다수 전문가는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압박이 거의 없는 점을 고려해 연준이 최소한 6월 FOMC 회의 때까지는 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일부는 9월 회의에서나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심지어 유럽중앙은행(ECB)이 통화정책에서 연준과 정반대 행보를 보이는 점을 근거로 내년 초에 가서야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