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년간 국방부 취재현장 지킨 김안중 기자실장 퇴직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16 10:36:19
  • -
  • +
  • 인쇄
정부부처 최장수 기자실장이자 국방부 역사의 산증인
△ 38년간 국방부 취재현장 지킨 김안중 기자실장 퇴직 (서울=연합뉴스) 만 38년간 국방부 기자실을 지킨 김안중(58·여) 기자실장이 17일부로 퇴직한다. 정부 기관의 기자실에 근무하는 기자실장은 보도자료 배포와 일정 전파 등 출입기자들에게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7년 2월부터 국방부 기자실에서 근무한 김 실장은 정부 부처 기자실장 중 최장수 근무 기록을 가지고 있다. (국방부 제공)

38년간 국방부 취재현장 지킨 김안중 기자실장 퇴직

정부부처 최장수 기자실장이자 국방부 역사의 산증인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만 38년 간 국방부 기자실을 지킨 김안중(58·여) 기자실장이 17일부로 퇴직한다.

정부 기관의 기자실에 근무하는 기자실장은 보도자료 배포와 일정 전파 등 출입기자들에게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7년 2월부터 국방부 기자실에서 근무한 김 실장은 정부 부처 기자실장 중 최장수 근무 기록을 가지고 있다. 사관학교를 나와서 군 복무를 했다면 현역 군인 서열 1위인 합참의장에 오를 수 있는 기간이다.

김 실장이 사회생활을 시작한 1970년대 후반의 국방부는 철저히 남성 중심의 세계였고 한국 현대사 격동기의 중심에 있었다. 여성으로서는 적응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었다.

김 실장에게는 1979년 10·26 사태와 같은 해 발생한 12·12 쿠데타의 기억이 생생하다.

국방부에서 교전이 벌어졌던 12·12 쿠데타 때는 한 신문기자가 신군부의 특전사 병력이 용산 국방부 청사로 들어오는 것을 사진 촬영했다가 신군부에 끌려갔다고 한다.

1980년대까지 국방부 출입기자는 기자실과 화장실, 대변인실 등 '3실'만 출입할 수 있었다.

출입기자와 고뇌를 함께해온 김 실장은 자신의 근무기간 거쳐 간 24명의 국방부 장관 중 1990∼1991년 재임한 이종구 28대 국방부 장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 기자들에게 취재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김 실장은 16일 "그전까지 국방부는 군에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해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보도관제를 했었는데 이종구 전 장관 재임 때부터는 유연해졌다"며 "이 전 장관은 출입기자들과 친분을 유지하는 등 언론에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회고했다.

김 실장은 강릉무장공비 침투사건과 1, 2차 연평해전 등 굵직굵직한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상황을 정확히 기억하는 데다 군 장성의 이력과 국방부 내 자질구레한 대소사를 꿰고 있어 언론의 취재에 많은 도움을 줬다.

그가 처음 국방부 기자실에 왔을 때 출입매체는 16곳이었으나 1980년 신군부의 언론 통폐합으로 12곳으로 줄었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늘어 지금은 38곳에 달한다.

지원대상 언론 매체가 최근 2년 동안에도 10여 곳이 늘었지만 김 실장은 불평 없이 기자실의 '살림꾼' 역할을 해왔다.

별정직 7급 공무원으로 퇴직하는 그는 근무기간 공로를 인정받아 국방부 장관 표창, 합참의장 공로표창, 국가보훈처장 공로표창 등의 표창도 받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