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영화 철회…청주공항 '중부권 관문공항' 거듭난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12 14:15:18
  • -
  • +
  • 인쇄
충북도, 국제노선 확충·접근성 개선 '주력'…공항공사 청사 리모델링 추진
△ 1천400만번째 외래관광객 맞은 청주공항 (청주=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29일 오후 청주공항이 1천400만번째 외래관광객을 맞은 가운데 한 중국인 관광객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4.12.29 vodcast@yna.co.kr

정부 민영화 철회…청주공항 '중부권 관문공항' 거듭난다

충북도, 국제노선 확충·접근성 개선 '주력'…공항공사 청사 리모델링 추진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정부가 민영화 방침을 사실상 철회하면서 충북도가 청주공항을 활성화에 본격 나선다. 명실상부한 중부권 관문공항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한 것이다.

연간 50억원 안팎의 적자가 이어지면서 민영화 대상에 올랐던 청주공항에 대해 정부가 이를 철회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지으면서 새로운 도약의 전기가 마련됐다는 것이 충북도의 판단이다.

충북도가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신경을 쓰는 대책은 국제노선 확충과 접근성 강화다.

두 마리의 토끼를 잡으면 활주로나 청사 관련 시설 개선은 자연스럽게 이뤄진다는 게 충북도의 생각이다.

도는 청주공항을 이용하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과 저비용 항공사(LCC)인 이스타·제주항공에 최근 공문을 발송, 오는 24일까지 개설 필요성이나 가능성이 있는 중국 관련 정기 국제노선에 대해 질의했다.

향후 한·중 항공회담이 열리면 청주공항을 오가는 항공사별 정기노선이 개설될 수 있도록 충북도가 나서서 '지원 사격'해 주겠다는 얘기다.

청주공항의 정기 국제노선은 베이징(北京)·항저우(杭州)·선양(瀋陽), 상하이(上海), 옌지(延吉), 하얼빈(哈爾濱), 다롄(大連)이다. 운휴 중인 태국 방콕을 제외하면 모두 7개다.

충북도는 해당 국가의 운항 허가만 받으면 즉시 취항 가능한 항공자유화(오픈 스카이)협정 적용 대상인 홍콩·오사카와 함께 중국 톈진(天津)·칭다오(靑島) 노선 개설도 추진 중이다.

이런 노선 외에 4개 항공사가 희망하는 정기 국제노선이 추가 개설되면 더 많은 국내외 이용객을 끌어들여 청주공항을 조기 활성화하는 게 한층 용이하다는 게 충북도의 분석이다.

충북도는 청주공항 대중교통 접근성 강화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중부권 관문공항으로서의 청주공항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게 대전·세종, 충남·북은 물론 인근 지역의 이용객이 좀 더 쉽게 오갈 수 있는 교통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청주공항과 오송역을 오가는 시내버스 증편이나 오창·진천 등을 오가는 시외버스의 공항 경유 등은 비교적 쉬운 사안이다.

그러나 대전·세종·충남 지역과 청주공항을 오가는 시외버스나 BRT(간선급행)버스 신설·증편, 대전 유성과 경기 수원 등의 이용객을 겨냥한 공항 리무진버스 노선 신설은 다른 시·도와의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도는 향후 청주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도 2017년까지 420억원을 청사 시설 개선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 투자 계획에는 'F급(날개폭 65m 이상 대형 항공기) 교체공항 지정 관련 A3유도로 장애물 이설' 사업비(4억4천500만원)도 포함돼 있다.

F급 교체공항은 대형 항공기가 기상 악화로 인천공항에 착륙하지 못할 때 이용하는 공항이다. 그런 점에서 이 사업만 끝나면 청주공항의 F급 교체공항 지정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도 유도로 개선 사업과 맞물려 대형 항공기가 이·착륙하는데 필요한 청주공항 활주로 갓길 확장·포장 사업에 필요한 사업비 20억원을 올해 투자할 계획이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시설 개선과 병행해 노선 확충과 접근성 개선이 성사된다면 연간 50억원에 달하는 청주공항의 적자도 1∼2년 후에는 흑자로 전환되는 것은 물론 이용객 급증으로 공항 위상이 제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