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반대 여론에 물밑 행보…도는 '충북 오송' 무게
![]() |
△ KTX 오송역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호남고속철도 개통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고속철도 분기역인 오송역 명칭 변경론이 확산하고 있다. 2015.2.11 <<연합뉴스 DB>> jcpark@yna.co.kr |
KTX오송역 명칭 변경론 비등…청주시 '눈치 보기'
"관할 행정구역 청주 모르는 사람 많아" 필요성 대두
오송 반대 여론에 물밑 행보…도는 '충북 오송' 무게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KTX 오송역 명칭 변경론이 확산하면서 청주시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시는 통합 청주시 출범으로 옛 청원군에 위치한 오송역 명칭 변경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충분한 주민 설득을 거쳐 공감대가 형성되면 행정절차에 따라 역명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것이 시의 공식 입장이다.
역명 변경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지난해 7월 통합시 출범 이후 계속 나오고 있다.
지역민을 빼놓고 오송역이 청주(오송읍)에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부지기수고, 오송을 심지어 충북이나 충남의 한 지방자치단체로 착각하고 있는 사람도 많다는 것이 그 이유다.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오송역이 경부·호남고속철도 분기·환승역의 위상을 공고히 할 지금이 역명 변경의 적기라는 지적이 많다.
김기동 청주시의원은 최근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시민 대다수가 개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통합시 출범의 상징성과 통합시 경쟁력을 고려할 때 올바른 명칭을 정하는 것이 오송역세권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KTX 청주역', 'KTX 청주 오송역', 'KTX 청주·세종역' 을 새 역명 후보로 제시했다.
시는 오송의 여론 주도층을 대상으로 물밑 접촉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역명 변경 검토를 선언하지는 않고 있다. 오송 주민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다.
시의 한 관계자는 11일 "역명 변경 반대 의견도 많은데 시가 전면에 나섰다가는 큰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오송 주민들이 역명 변경 찬성 민원을 제기하는 것을 최상의 시나리오로 여기고 있다. 이 경우 찬반 여론조사 등 자연스럽게 공론화 작업을 벌일 수 있어서다.
역명 변경에 제도적 문제점은 없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3월 마련한 '철도 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 제정안' 제10조는 기존 역이 위치한 행정구역명이 변경됐을 경우 역명심의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역명을 개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행정구역이 청원군에서 청주시로 바뀐 오송역에 딱 들어맞는 대목이다.
따라서 오송 지역에서 역명 변경론이 대세로 자리잡거나 반대 여론이 누그러진다면 역명은 어렵지 않게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이 시점에서 도의 눈치도 살피는 듯하다. 상급기관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오송의 가치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교통물류과의 한 관계자는 "현지 주민들의 (찬성) 여론이 가장 중요하다"며 "시가 주민들과 시의회의 의견을 수렴해 역명 개정 결정을 내리면 우리도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원론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윗선에서는 역명 변경을 탐탁지 않게 여기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오송'이 국내 바이오산업의 대명사가 됐고, 네임밸류도 커지고 있는데 굳이 청주로 국한할 필요가 있느냐는 뉘앙스다.
확대 해석하면 청주의 오송보다는 충북의 오송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도는 생명과학단지와 첨단의료복합단지, 보건의료 국책기관을 오송에 유치한 뒤 오송을 국내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키우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으며 제2생명과학단지도 조성하고 있다.
시가 만약 오송 주민들을 설득해 오송역 명칭 변경의 서막을 열더라도 넘어야 할 산이 더 있는 셈이다.
시가 오송역 명칭 변경 문제를 언제 수면 위로 올릴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