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한일정상 회담위해선 정지작업 필요">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9일 외신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를 비롯한 한반도와 국제정세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외신 기자 50여명이 참석한 이날 회견에서는 중국과 일본 언론들로부터 한·중·일 3국을 둘러싼 다양한 동북아 현안들에 대한 질문이 집중됐다.
다음은 김 대표와의 일문일답.
--남북 간 대화 단절은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 집권당의 대표로서 북한과의 (대화) 채널을 가동하거나 국회를 활용할 계획이 있는가.
▲남북분단 70년을 계기로 삼아서 긴장완화와 적극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을 포함한 남북 대화 협력의 전제조건으로 대북전단살포 중지,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 5·24조치 해제 등을 내세우고 있어서 진전이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 남쪽은 항상 마음의 문을 열고 대화의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남북관계의 문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정부에 모든 것을 일임하는 것이 옳다. 다른 채널로 남북대화를 하는 것은 일을 그르칠 수 있다는 걱정을 하고 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북한 핵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동의하나.
▲문제는 북핵 문제인데 이 문제는 세계 평화, 안전과도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관련국들과의 긴밀한 공조와 협력이 필요하다. 도둑을 한 명 잡고자 10명의 경찰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한국은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 현실에 맞고 또 고도의 능력을 갖춘 미사일 방어체제를 구축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다만) 그 방법이 어떤 방법이 될지는 아직 결정을 못 하고 있다. (또) 유 대표가 사드에 대해서 발언한 것은 원내대표가 되기 전 한 개인 의원의 입장이었고 이제 원내대표가 된 후의 입장은 또 다른 입장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몇 년째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고 있다. 작금의 경색된 한일관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어떤 해결방법이 있나.
▲한일 간 정상회담 추진은 기본적으로 정부가 판단해야 할 문제이지만 대한민국의 일반적인 국민 정서는 이렇다. 아베 총리의 집권 이후에 여러가지 일본 정부나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발언이 한국 국민의 마음을 많이 상하게 했다. 특히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발언은 정말 우리 국민의 감정을 상당히 많이 상하게 했다. (위안부 할머니는) 현재 53명이 살아계신다. 혹 일본 정부에서는 이 53명의 할머니가 빨리 돌아가시기를 바라고 있는 게 아닌지 하는 그런 생각마저 들 정도이다. 이렇게 준비되지 못한 상태에서의 정상회담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오히려 걱정이다. 정상회담 추진을 위해선 서로 간에 양국의 국민감정을 무마하는 사전 정지작업이 필요하다.
--산케이신문 기자에 대한 기소 사건이 과연 대한민국의 국제적인 이미지와 국격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어떤 언론관을 갖고 있나.
▲산케이신문 기자에 대한 기소 문제는 외교적 문제는 결코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는 사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사법부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 언론의 자유는 보장이 되어야 하지만 근거 없는 왜곡된 내용으로 한 국가지도자에 대한 모욕적인 기사가 언론의 자유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최근 한중 정치 지도자들 간의 교류가 활발한데 현재의 한중관계를 어떻게 평가하나.
▲한중 양국은 92년에 외교관계가 수립된 이후에 지난 20년 동안 세계 외교사에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의 관계발전을 이룩했다. 저도 작년 10월에 중국에 가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바 있다. 이를 통해서 양국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잘 발전시켜 가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시 주석과 박 대통령은 거의 같은 시기에 5년 임기가 시작됐다. 이런 환경과 여건하에서 올해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한층 더 발전시키기 위해선 양국 정상 및 고위 인사간 활발한 교류를 계속 이어나가야 한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조속한 발표 등을 통해서 경제협력을 질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