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에어버스D&S, 한국형전투기 개발 파트너십 계약
KF-X 사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대한항공 대결 예상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대한항공이 유로파이터 제작사인 에어버스D&S와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할 것으로 5일 전해졌다.
대한항공의 한 관계자는 이날 "지난 2일 에어버스D&S와 한국형 전투기 공동 개발에 구두 합의했고, 가능한 한 이른 시일 안에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9일까지 입찰에 함께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과 에어버스D&S가 KF-X 개발 사업에 공동 참여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차기전투기(F-X) 사업자인 록히드마틴과 협력관계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의 경합이 예상된다.
방위사업청은 대한항공과 KAI가 9일까지 각각 KF-X 사업 입찰제안서를 제출하면 제안서 평가를 통해 다음 달 중 우선협상대상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방사청의 한 관계자는 "우선협상대상업체 선정 이후에는 2∼3개월 동안의 협상을 거쳐 6∼7월 중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KF-X 체계개발 업체를 최종 선정할 것"이라며 "입찰제안서에는 KF-X 사업계획과 함께 기술협력업체(TAC)로부터 받는 기술이전과 투자분이 포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술적 측면에선 국산 고등훈련기 T-50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KAI가 유리하지만 투자여력 측면에선 기업 규모가 큰 대한항공이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투기 제작 및 기술 측면에서 열세인 대한항공 입장에선 에어버스D&S와의 파트너십 계약으로 KAI와 경쟁 구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됐다.
미국 정부의 기술이전 통제를 받는 록히드마틴에 비해 유럽업체인 에어버스D&S는 상대적으로 핵심기술 이전에 자유로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T-50과 기동헬기 수리온 등을 개발한 경험이 있고 제조시설도 갖추고 있는 KAI가 앞서 있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KAI는 KF-X 개발에 대비해 현재 1천400여명인 연구인력을 크게 늘릴 예정이다.
하성용 KAI 사장은 지난달 28일 경남 사천 KAI 본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2025년부터 전력화가 예정된 KF-X 개발 사업과 관련, "개발 시한을 맞출 것이고, 비용도 맞출 수 있다"고 자신감을 피력한 바 있다.
개발비용만 8조6천여억원이 투입되는 KF-X 사업은 공군의 노후전투기인 F-4, F-5의 도태에 따른 전력 보충과 미래 전장운영 개념에 맞는 성능을 갖춘 전투기를 연구개발하는 사업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