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대화아파트 붕괴 옹벽 재난취약시설 지정 안됐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05 08:23:29
  • -
  • +
  • 인쇄
안전점검 없어…해빙기 재난취약시설 안전 예방 허점
△ 광주 옹벽 붕괴 사고 현장 (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5일 오전 옹벽이 붕괴돼 차량 수십대가 매몰된 광주 남구 봉선동의 대화 아파트에서 경찰과 소방당국이 추가 붕괴를 우려 해 주민을 대피시키고,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광주 대화아파트 붕괴 옹벽 재난취약시설 지정 안됐다>

안전점검 없어…해빙기 재난취약시설 안전 예방 허점



(광주=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5일 새벽 붕괴된 광주 대화아파트 인근 옹벽은 재난취약시설로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시설 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

이 옹벽은 아파트 인근 제석산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아파트가 건립된 1993년 세워졌다.

그러나 아파트와 바로 인접하고 거의 90도 가까운 옹벽 높이가 15m에 달하는데도 안전사고 예방 관리·점검 대상인 재난취약시설로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대와 벽, 급경사지 등 붕괴 위험 등이 큰 시설에 대해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관으로 책임자가 별도로 지정되고 특별 관리·점검을 받는다.

해당 지자체는 시설별 상태를 5단계로 구분, 등급에 따라 집중 관리한다.

특히 얼었던 지반이 녹으면서 동결과 융해현상이 반복돼 축대, 옹벽, 급경사지 등 붕괴로 안전사고 발생이 높은 시기인 해빙기에는 재난취약시설에 대해 집중 관리를 벌인다.

국내에서도 최근 8년간 해빙기 안전사고 66건이 발생해 4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광주시도 지난 15일부터 3월까지를 '해빙기 안전관리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재난 취약시설의 안전사고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대책 기간에는 위험시설을 주기적으로 순찰하고 책임자는 비상 근무한다.

이에 앞서 시와 남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와 함께 취약시설에 대해 일제조사를 하고 특별교육도 시행했다.

그러나 붕괴된 옹벽은 취약시설로 지정되지 않아 안전 점검, 조사, 교육도 전혀 없었고 담당 근무자도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남구는 사고가 발생하자 인근 아파트 주민 100여세대를 인근 초등학교로 긴급 대피시키고 뒤늦게 안전 점검을 벌이고 있다.

남구는 안전 점검과 원인 조사를 벌인 뒤 복구 작업을 할 계획이다.

남구의 한 관계자는 "해빙기 지반이 약해지면서 붕괴한 것으로 보인다"며 "육안 등으로 볼 때 재난 취약 시설로 분류되지 않았고 급경사지로만 분류됐다"며 "안전점검 뒤 재난취약시설 지정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5일 오전 3시 49분께 광주 남구 봉선동 대화아파트 인근 높이 15m, 길이 200m 옹벽 가운데 30m가량이 붕괴해 콘크리트와 토사 등 1천t가량이 주차된 차량 50여대가 매몰되거나 파손됐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