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P/교도통신=연합뉴스.자료사진) 스가 관방장관 |
일본, 인질 피살 계기 정보기관 창설 논의 본격화
이달 워싱턴 테러대책회의에 장·차관급 파견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과격단체 이슬람국가(IS)에 자국민 2명이 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한국 국정원,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같은 정보기관을 창설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를 본격 진행하기로 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4일 기자회견에서 인질 피살 사건을 계기로 대외 정보 수집 역량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정보기관을 설치할 가능성을 질문받자, "정보의 수집, 집약, 분석에 제대로 임할 것"이라며 "어떤 체제로 할지 연구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아베 총리는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정보기관 신설에 대해 "정부가 즉시 검토할 것은 아니지만, 자민당 내에서 필요성과 존재 양식에 대해 검토중"이라고 답했다.
일본 정부는 피살된 2명 중 유카와 하루나(湯川遙菜) 씨가 IS로 추정되는 집단에 억류된 사실을 작년 8월 인지하고, 고토 겐지(後藤健二) 씨 억류 사실도 같은 해 12월 알게 됐지만 지난달 20일 IS가 살해협박 영상을 공개할 때까지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거나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 지난달 20일 이후에도 IS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동 인사들을 통한 물밑 석방 노력 등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이번 사태에서 대외 정보 수집 역량 부족, 해외 비(非) 정부 조직과의 물밑 협상 인력 부재 등 문제가 부각되자 정보기관 신설 논의가 탄력을 받는 양상이다.
일본은 종전후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총리(1946∼47년, 1948∼54년 재임)가 "부처별로 흩어진 정보를 모아서 분석, 정리하는 기관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일본판 CIA'를 만들려 했다가 '군국주의 시절의 내각 정보국이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 봉착, 1952년 현재의 내각 정보조사실을 만드는데 그쳤다.
또 아베 총리는 중의원 예산위에서 오는 18∼19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테러 대책 회의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이나 다른 각료 또는 차관급 인사를 파견하는 방안을 미국 측과 조율중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아베 총리는 인질 2명이 희생된데 대해 "이 같은 결과가 된 것은 매우 안타깝다"며 "(책임은) 마땅히 최고 책임자인 나에게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무라 마사히코(高村正彦) 자민당 부총재는 작년 10월, 고토 씨가 시리아의 IS 지배지역에 들어간 것은 "아무리 사명감이 높았다고 해도 진정한 용기가 아니라 만용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며 비판했다.
분쟁지역 취재를 전문으로 해온 프리랜서 언론인인 고토 씨는 자신에 앞서 IS에 억류된 유카와 씨의 석방을 돕고, 현지 주민들의 실상을 전하고 싶다는 말을 남기고 IS 지배 지역에 들어갔다가 연락이 두절됐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