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무성, "국민합의 통해 새로운 복지모델 만들어야"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국민적 합의를 토대로 국가 재정건전성을 감안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새로운 복지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김무성 "국민합의 통해 새로운 복지모델 만들어야"
'증세없는 복지' 정책기조 변화 필요성 거듭 강조
(서울=연합뉴스) 김병수 류미나 기자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4일 국민적 합의를 토대로 국가 재정건전성을 감안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새로운 복지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없는 복지정책'의 기조 변화 필요성을 주장했던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우리 정치권에서 복지 논쟁이 한창인데, 이것은 참 잘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본격적 복지시대에 진입하는 이 시점에 실패한 일본·유럽 정책을 답습할 것인지, 우리 실정에 맞는 새로운 복지정책을 구상해서 실현할지 더 치열한 토론을 벌여서 국민적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유럽과 일본은 이(토론을 통한 국민적 합의) 과정이 부족했기 때문에 복지과잉으로 인해서 국가 재정건전성이 아주 나빠졌다"며 유럽의 다수 국가들의 국가부채가 GDP(국내총생산) 대비 80~100%, 일본의 경우는 무려 240%를 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의 경우 (국가부채가) 정부 주장은 35.8%이고 공기업부채를 포함하면 70% 정도인데 국가경영에 국가 재정건정성의 유지가 제일 중요하다는 인식을 같이 하면서 새로운 복지모델을 우리가 만들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최근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 조짐을 보이는 것과 관련, "부동산 3법이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하면서 시장 분위기를 살린 게 큰 요인"이라면서 "2월 임시회에서도 경제활성화 관련 12개 법안을 비롯해 국민 실생활과 직결된 민생법안이 산적해 있는데 야당을 잘 설득해서 가급적 많이 통과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