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니카이 자민당 총무회장 (도쿄=연합뉴스.자료사진) |
<日여당 중진들, 아베의 독단적 담화 발표 견제구>
집권당 간부·연립여당 대표, '아베담화' 국회 협의 강조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자신의 역사 인식을 담아 종전(終戰) 70주년 담화(일명 아베 담화)를 발표하려 하는데 대해 연립여당 핵심 인사들이 잇달아 견제구를 던졌다.
니카이 도시히로(75·二階俊博) 자민당 총무회장(중의원 11선)은 3일 기자회견에서 아베 담화에 대해 "좋든 싫든 간에 세계 각국이 주목하는 담화가 될 것"이라며 "국회가 (담화에 대한 입장이) 제각각인 것 보다는 일치된 방향으로 가는 쪽이 더 강한 영향력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NHK가 보도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발표할 때 각 당과 조정을 도모하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닌가"라며 "많은 분들의 합의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또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아베 총리는 새로운 담화를 작성하면서 역대 내각 담화를 전체적으로 계승하겠다고 말한다"며 "내각이 내는 담화는 일본의 자세로서 나라 안팎에 받아들여지는 것이기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담화를 검토한다면 상식적으로는 정부·여당에서 합의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당 핵심인사들의 이 같은 발언에는 아베 담화가 침략과 식민지배에 대한 명확한 반성을 생략함으로써 외교적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에 대한 경계의 뜻이 담겨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아베 총리는 지난달 국회에서 별도의 국회 협의 없이 내각 책임 아래 오는 8월15일을 즈음해 종전 70주년 담화를 발표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런 점에서 니카이와 야마구치는 독자적으로 담화를 내려는 아베 총리의 입장에 '반기'를 든 셈이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25일 NHK 프로그램에 출연한 자리에서 '침략', '식민지배', '통절한 반성' 등 무라야마(村山)담화(종전 50주년 담화)의 핵심 단어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 '역사 수정주의자'라는 평가를 들어온 아베 총리가 2013년 국회에서 "침략의 정의는 정해져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는 점에 비춰, 아베 담화에 '침략' 등 단어가 포함되지 않으면 과거사에 대한 재해석 시도라는 평가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