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명강의' 온라인으로 누구나 듣는다
교육부, 올해 하반기 '한국형 MOOC' 시범운영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일반 국민이 국내 대학의 강의를 온라인으로 쉽게 수강하는 길이 열린다.
교육부는 3일 서울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한국형 온라인공개강좌(MOOC)'를 올해 하반기 시범도입하는 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온라인공개강좌는 최근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등에서 대학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학습자가 인터넷으로 세계적 석학들의 강좌를 무료로 접하고 질의응답, 과제, 토론 등 '쌍방향 학습'이 이뤄지는 것이 장점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교수들이 2012년 4월 발족한 코세라(Coursera)에는 현재 114개 기관의 839개 강좌가 개설돼 있고 이용자는 약 1천만 명이다.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MOOC가 구축되면 주부, 직장인, 대학생 등 다양한 계층이 대학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정부는 MOOC의 공용플랫폼을 만든 뒤 올해 하반기 시범강좌를 20개 정도 개설하고 강좌 수를 2018년까지 50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각 강좌는 대학 명의로 운영되고 대학이 정한 일정기준을 충족하면 이수증을 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한국형 MOOC'에 국내 대학의 최우수 강의가 탑재되도록 유도하고 국내 서비스가 안정되면 외국 대학의 강좌도 개설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국형 MOOC는 대학의 수업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국내 대학의 질 높은 강의를 외국에 공개하고 공유함으로써 한국 고등교육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MOOC를 통한 학점 및 학위 인정은 온라인 학습의 신뢰성에 대한 사회적, 기술적 검증을 거쳐 장기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