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합기술원은 3년 더 지원…50% 삭감
경기도, 수십억 대주던 두 연구기관 지원 축소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내년부터 지원 중단
차세대융합기술원은 3년 더 지원…50% 삭감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경기도가 매년 수십억원을 지원해오던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차세대융합기술원에 대해 지원을 줄이기로 했다.
도는 지원협약기간 만료에 따른 조치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기관이 지원액만큼 경기도에 이바지하는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부터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 대한 도비 지원을 중단하기로 하고 연구소 측에 자구책을 마련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설립한 연구기관으로, 경기도가 2005년 판교테크노밸리 유치에 성공했다.
이후 도는 연구소와 협정을 맺고 2006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연구개발비로 300억원을 지원했다.
부지매입비 309억원과 건축비 200억원도 경기도가 부담했으나, 2010년 기부채납을 받았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정부로부터도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140억원 가까운 지원금을 받았다.
경기도는 올해 말로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의 지원협정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더 이상 지원을 하지 않기로 했다.
도의 한 관계자는 지원중단 이유에 대해 "지원계약기간이 끝나 더 이상 도가 지원할 근거가 없기 때문"이라면서 "앞으로는 연구소 스스로 운영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구소가 경기도를 위해 이바지한 것이 많지 않은 것에 대한 속내를 내비쳤다.
이 관계자는 "연구소가 지역 사회를 위해 경기도 기업과 공동으로 연구도 하고, 수익창출을 위한 연구과제도 수행해야 하는데, 순수 연구만 해왔다"면서 "우리가 지원하는 예산에 비해 성과가 거의 없어 더는 지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지난 10년간 89건의 특허를 출원했지만, 수익과 연결되는 기술이전 사례는 3건에 불과했다.
연구소가 도내 제약업체 등과 공동 협력연구 등을 통해 신약기술을 이전하고, 수익을 많이 창출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내줘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도의 판단이다.
도는 예전 같은 목돈을 지원금으로 주지 않는 대신 연구소가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따라 사업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도가 건물과 부지를 제공하며 2007년 광교테크노밸리에 유치한 차세대융합기술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도는 당시 서울대와 협약을 맺고 정보통신과 바이오 등 첨단 고부가가치산업을 견인할 고급인력양성 및 연구개발을 위해 차세대융합기술원을 설립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총 261억원의 예산을 운영비와 사업비로 지원했다.
도는 기술원이 인력양성에는 역할을 했지만, 경기도의 과학기술역량을 강화시키는 성과는 제대로 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도는 지원을 한꺼번에 끊으면 기술원 운영에 큰 타격이 있을 것을 우려해 2017년까지 지원기간을 연장하는 대신 지원금을 기존의 50% 수준인 15억원으로 낮췄다.
지금까지 한 푼의 지원금을 내지 않은 서울대에 요구해 서울대가 올해부터 5억원의 기술원 지원비를 부담하도록 했다.
도의 이 관계자는 "연구개발분야 지원은 큰 비용이 수반돼 자치단체에 부담이 되기도 한다"면서 "도의 지원만큼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도록 앞으로 우리나 연구기관 모두 노력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