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 야생동물 위치추적장치 개발...AI예방 기대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03 12:00:10
  • -
  • +
  • 인쇄
무게 22g..."치매노인 실종 방지 등 활용 기대"
△ 무게 22g짜리 초경량 야생동물 위치추적장치 WT-200.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초경량 야생동물 위치추적장치 개발...AI예방 기대

무게 22g..."치매노인 실종 방지 등 활용 기대"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조류인플루엔자(AI) 전파매개체로 의심되는 작은 조류에도 부착해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무게 22g의 초경량 위치추적장치를 개발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3일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개발 벤처기업인 한국환경생태연구소와 함께 SK텔레콤의 데이터로밍서비스 기술협력을 받아 22g짜리 초경량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200)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국산 위치추적기는 무게가 50g으로 AI 전파 매개체로 추정되는 각종 오리류 철새 중 가창오리 같은 작은 조류에는 부착할 수 없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WT-200은 배터리 대신 충전이 가능한 태양전지를 사용해 수년간 지속적으로 야생동물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고 GPS로 오차범위 10m 이내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SK텔레콤과 협력하는 전 세계 국가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위치정보를 받을 수 있어 야생동물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수입하던 인공위성 위치추적기를 대체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국립중앙과학관과 한국환경생태연구소 연구진은 2012년부터 WT-200 위치추적기를 이용해 저어새, 수리부엉이, 청둥오리 등 다양한 국내외 야생동물 이동경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 이한수 박사는 "올해부터 WT-200을 이용해 몽골의 독수리·재두루미, 페루의 안데스콘도르, 국내의 저어새 등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국제연구를 할 예정"이라며 "AI의 국가 간 전파경로 예측·방역 연구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립중앙과학관 백운기 박사는 "이 위치추적기 소형화 기술은 향후 융합연구를 통해 치매노인 실종 방지 등 사회문제 해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