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대·교대 등 교원양성기관 대상 '질평가' 강화
올해 7월부터 '4주기 평가'…2017학년부터 정원 감축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교육부가 중·고등학교 교원의 양성기관 정원을감축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 정성평가가 대폭 강화된다.
교육부는 3일 이런 내용을 담은 '4주기(2015∼2017년) 교원양성 평가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사범대, 교육대학, 일반대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을 평가할 때 정량지표 중심에서 벗어나 정성지표를 다양하게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교육당국의 교원양성평가는 정량지표가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앞으로 양성기관별로 지표의 29∼42%가 정성평가로 채워진다.
예를 들어 사범대는 4주기 평가지표 22개 중 정량지표는 13개이고 정성지표가 7개,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를 혼합한 지표는 2개로 구성된다.
수업의 질 관리, 재학생 만족도, 현장역량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계획 및 실적 등이 추가된 정성지표다.
교육부 관계자는 정성지표 강화에 대해 "그동안 정량지표 중심의 평가체제에서보여주기식 허위 평가자료에 대한 모순이 지적됐다"며 "중장기 발전계획이나 특성화 방안 등의 지표를 적용할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성평가는 평가자들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등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 평가 매뉴얼 작성 ▲ 평가위원들의 평균점수 활용 ▲ 평가위원의 의무 연수 ▲ 모의평가를 통한 전문성 향상 등으로 객관성을 담보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전임교원 확보율 등의 지표는 1년간 현황이 아닌 최근 3개년 실적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3일 오후 한국교원대에서 개최할 공청회를 통해 교육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다음 달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추진 기본계획'을 확정한 뒤 오는 7월부터 평가를 시행할 계획이다.
전국 460여 개 모든 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평가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올해 교육대 10개교와 사범대 46개교가, 내년에 일반대 교육과 및 교직과정이 설치된 대학 120개교가 각각 평가를 받으며 2017년에는 전문대 128개교가 평가 대상이다.
교육부는 내년 2월 나오는 첫 평가결과를 토대로 2017학년도 신입생부터 교원양성기관의 정원 감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지난달 교육부는 '2015년 업무보고 자료'에서 중등교원의 임용고사 경쟁률이 너무 높다며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의 배출 인원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교원양성기관 평가는 1주기(1998~2002년)와 2주기(2003~2009년)에 이어 2010년부터 작년까지 3주기 평가가 진행됐다.
3주기 평가에 따라 교원양성 정원은 모두 3만8천584명이 감축됐다. 유아·보건·실기교사 양성학과 2만9천429명, 교육대학원 5천639명, 일반대 교직과정 3천365명, 사범대 및 일반대 교육과는 151명이 각각 줄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