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록관·민주평화교류원, 기념재단 '중복' 갈등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02 17:17:36
  • -
  • +
  • 인쇄
광주시 5·18기록관 직영 방침…재단 "기록 수집·보존, 20년간 해온 주요 업무"
아시아문화전당 내 일부 사업·전시도 기념재단과 '유사'

5·18기록관·민주평화교류원, 기념재단 '중복' 갈등

광주시 5·18기록관 직영 방침…재단 "기록 수집·보존, 20년간 해온 주요 업무"

아시아문화전당 내 일부 사업·전시도 기념재단과 '유사'



(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5·18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따라 추진된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아카이브)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일부 시설이 기존 5·18 기념재단의 핵심 사업과 상당수 중복될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차원에서 5·18의 진실을 알리고자 피해자들의 보상금 출연과 국민 기금 등으로 설립된 기념재단은 1994년 설립 이후 5·18 진실규명을 위한 기록물 수집, 교육, 교류 활동의 주축이 돼왔으나 이 같은 중복사업으로 인해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2일 5·18기념재단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오는 5월 개관 예정인 5·18기록관을 시 직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그러나 기념재단 측은 교육, 교류협력, 학술, 진실규명 등 사업을 맡아 5·18 인정교과서 발행, 교사 및 인권활동가 연수는 물론 민간·재판 기록 등 자료 수집 및 증언록 확보 등을 주도적으로 해왔다며 기록관 운영 역시 재단에서 이어가며 추가적인 기록 수집과 연구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시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군사재판자료와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국가피해보상자료 등은 민간에 위탁할 수 없는 공공기록물이므로 직영을 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이다.

광주시의 한 관계자는 "세계기록유산인 5·18 기록물과 공공기록물 등은 '문화재보호법' 등 관련법에 따라 문화재에 준하는 수준의 관리 등 공공기관 관리사무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대해 기념재단은 "기록물 상당수가 민간 소유이고 재단의 진실조사 수행과정에서 모은 기록도 있어 이들을 모두 공공 기록물로 단정할 수는 없다" 며 "또한 생존자들이 있기 때문에 기존 기록 보완이나 확대, 다른 연구 활용을 위해서라도 민간에서 관리하거나 민·관 합동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광주시 5·18민주화운동 기록관 설치 및 운영 조례'에도 민간 위탁이 가능하다고 명시돼 있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기념재단측은 그동안 재단에서 해오던 기록 수집, 연구, 기념사업 수행 등의 이원화에 따른 효율성 저하, 업무 중복 등 재단이 고사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아시아문화전당에 들어서는 민주평화교류원의 공연·전시·포럼 사업과 민주인권평화기념관의 80년 5월 당시 10일간의 이야기를 예술로 표현한 전시 등도 기념재단의 교류협력사업 등과 비슷한 성격의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재단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광주시와 업무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국회를 통과한 5·18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예산 2억2천만원을 반납했다"며 "5·18 사업이 축소·고사되지 않도록 아시아문화전당 운영주체와 광주시, 기념재단 등이 함께 논의하며 사업방향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이에 대해 시가 관리 주체를 맡되 기념재단 측과 운영 협의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논의 중이라며 오는 3일 오후 2시 5·18기록관 운영 주체에 관한 공청회를 열 예정이다.

광주시의회 역시 오는 11일 5·18기록관 직제개편안을 안건으로 상정, 논의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