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25%, '학교밖'에서 직업관련 교육받는다"
교육개발원 면접조사…정규과정 포함 평생학습 참여율 36.8%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우리나라에서 25세 이상 성인 4명 중 1명이 평생교육기관에서 직업에 관한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14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자료집에서 작년 7∼8월 전국의 성인(만 25∼64세) 9천948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한 결과, 직업관련 '비형식교육'의 참여율이 25.4%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비형식교육은 학교에서 졸업이나 학위를 취득하는 정규 교육과정인 '형식교육'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대학의 평생교육원, 주민자치센터, 학원, 백화점 문화센터 등에서 이뤄진다.
지난해 직업관련 비형식교육의 참여율은 2013년 16.4%보다 9%포인트 상승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단위 통계조사를 처음 실시한 2007년의 9.2%와 비교하면 7년 만에 세배 가까운 수준으로 올랐다.
단순히 스포츠, 예술·문화활동 등 여가생활이 아니라 취·창업이나 재취업을 목적으로 자격증 획득, 외국어 학습에 힘쓰거나 직장에서 직무교육을 받는 성인이 급증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저연령대(25∼34세)의 참여율이 31.1%로 고연령(55∼64세) 16.6%보다 크게 높았고 대졸 이상 취업자의 참여율은 42.4%나 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평생학습에서 직업관련 교육의 참여율의 높아진 것은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자 증가 등으로 다른 직장이나 직업을 미리 준비하는 성인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지난해 형식교육을 포함한 평생학습 참여율은 36.8%로 2013년 30.2%보다 6.6%포인트 올라갔다.
작년 평생학습 참여율은 학력, 경제력, 지역 등의 변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대졸 이상 학력의 참여율이 48.4%로 중졸 이하(22.3%)의 2배 정도를 기록했고 월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50.1%)과 150만원 미만(21.1%)의 참여율 격차도 컸다.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참여율은 각각 38.9%와 37.3%로 비슷했고 서울 및 광역시는 34.9%로 약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평생학습실태 자료집은 "한국 사회에서 평생학습 참여는 개인특성과 매우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령층과 경제적 취약계층의 평생학습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