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 인질사태후 아베 '적극적 평화주의' 행보 주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01 17:31:23
  • -
  • +
  • 인쇄
국제사회 지지·국민 불안 등 양방향 변수 혼재
△ 테러에 절대 굴복 안합니다 (AP/교도통신=연합뉴스) 1일(현지시간) 이슬람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언론인인 고토 겐지(後藤健二·47) 살해 주장 영상을 인터넷에 올린 가운데 도쿄 총리 관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왼쪽 2번째) 총리가 긴급 각료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일본은 절대 테러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테러와 싸우는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ulls@yna.co.kr

< IS 인질사태후 아베 '적극적 평화주의' 행보 주목>

국제사회 지지·국민 불안 등 양방향 변수 혼재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이슬람국가(IS)에 억류된 일본인 인질 2명이 모두 참수되는 결과를 맞으면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외교·안보 정책인 '적극적 평화주의'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게 됐다.

적극적 평화주의는 2013년 하반기부터 집단 자위권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아베 총리가 간판으로 내건 정권의 외교·안보 이념으로, 국제 안보와 관련한 일본의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취지다.

IS가 일본인 살해의 이유로 거론한 아베 총리의 지난달 17일 IS대처 지원(2억 달러) 약속은 난민 등을 돕는 인도적 지원이지만 일본의 현행 '평화헌법' 하에서 할 수 있는 적극적 평화주의 행보의 일환이었다는게 대체적인 평가다.

또 IS가 일본인 인질 2명을 살해한 뒤 일본인을 겨냥한 후속 테러에 나서겠다고 협박한 것은 아베 총리의 적극적 평화주의에 어떤 형태로든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번 일로 적극적 평화주의 행보가 탄력을 받을지, 위축될지는 속단키 어렵다. 아베의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일본인들의 불안감이 교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국제사회는 이번 사태를 둘러싼 아베 총리의 대응을 지지하는 양상이다. 한국시간 1일 2번째 인질인 고토 겐지(後藤健二) 씨를 살해했다고 주장하는 IS의 동영상이 공개된 직후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 정상들이 IS에 대한 강한 규탄과 대 일본 지지의 메시지를 낸 것이 이를 입증한다.

어쨌든 일본 정부가 IS의 2억 달러 몸값지불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요르단에 수감된 여성 테러리스트와 고토 씨 신병을 상호 교환하자는 IS의 수정 제안도 결국 관철되지 않았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IS에 맞선 국제사회의 대오를 크게 이탈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요인이다.

이미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일본이 한국과 중국의 견제와 자국 내부의 갈등 속에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을 추진할 때부터 국제 안보와 관련한 보폭을 넓히려는 아베 총리의 행보를 적극 지지해왔다.

그런 만큼 아베 총리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적극적 평화주의에 박차를 가하려 한다면 미국 등은 변함없는 지지를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안만 놓고 본다면, 인질 2명의 희생은 결과적으로 '최악'이지만 그 자체가 아베 정권의 대처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연결될 공산은 크지 않아 보인다. 자발적으로 국내외 위험지역에 들어간 자국민의 변고에 대해 일본인들은 대체로 본인 책임을 강조하는 편인데다 몸값 요구에 불응하되, 석방을 위한 외교 노력을 벌인 정부의 대응기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최근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바 있다.

하지만 IS가 2번째 인질인 고토 씨까지 살해했다고 주장하면서 향후 일본인에 대한 추가 테러까지 거론한 것은 일본인들로 하여금 '적극적 평화주의'에 내재된 위험부담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민감성을 의식한 듯 일본 정부는 이번 사태가 정권의 적극적 평화주의 행보에 대한 비판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차단하려 하는 한편 이 사태를 계기로 자위대의 해외 행동반경을 넓힐 가능성을 부정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1일 기자회견에서 향후 일본인에 대한 테러 위협이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IS를 두려워한 나머지 중동에서 인도적 지원을 끊는다면 그것은 테러리스트의 계략"이라며"테러를 자행한 사람을 용서할 수 없으며, 국제적으로 법의 심판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답했다.

스가 장관은 또 일본인 피해를 명분삼아 자위대가 IS 공습 참가국을 후방지원할 가능성에 대해 "전혀 없다"며 "안전보장 법제정비와 이번 사안은 별개 문제"라고 잘라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