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故 김영삼 전 대통령 영결식을 하루 앞둔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 영결식 무대 등이 설치되고 있다. <사진제공=포커스뉴스> |
[부자동네타임즈 이영진 기자]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이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 앞뜰에서 유족과 각계인사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된다.
행정자치부는 유족과 협의를 거쳐 영결식와 안장식, 운구절차 등을 결정해 25일 발표했다.
영결식에는 유족과 친지, 장례위원회 의원, 국가 주요 인사, 각계 대표, 해외조문사절단 등 1만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공식 노제와 추모제는 유족과 협의에 따라 하지 않기로 했다.
영결식에 앞서 고인의 운구행렬은 오후 1시 25분 서울대학교병원 빈소에서 출발한다.
영결식은 고인의 운구행렬 입장과 함께 시작된다.
개식, 국기에 대한 경례, 고인에 대한 묵념 등에 이어 정종섭 행자부 장관의 약력보고와 황교안 국무총리의 조사 순으로 진행된다.
추도사는 김영삼민주센터 이사장인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맡았다.
4대 종교(기독교, 불교, 천주교, 원불교) 의식이 치러진 후 고인을 애도하기 위한 영상이 상영되고 헌화·분양과 함께 추모곡이 연주된다.
영결식 사회는 김동건 전 아나운서가 맡았고 추모곡은 바리톤 최현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부르는 것으로 정해졌다.
조총 발사 후 김 전 대통령의 유해는 장지인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동한다.
일반시민들은 영결식에 입장을 못하지만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지켜볼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 관계자는 "국회의사당 영결식장에는 초청장을 받은 인원만 입장이 가능하다"며 "국회 정문 외 다른 문을 통해 들어오는 시민들에 대해 막지는 않으나 영결식장 입장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경찰청과 영결식 당일 질서·안전유지를 위해 긴밀히 협의 중이다.
행자부는 이상원 경찰청 차장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안전관련 사항을 챙기고 있다.
영결식 종료 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안장식이 거행된다.
안장식은 현충원 주관으로 간소하게 진행될 예정으로 헌화, 분향, 하관, 예배, 허토 등 순으로 진행하고 좌석은 250여석 정도 준비되고 있다고 행자부는 밝혔다.
안장지로 이동하는 구간에 서울 동작구 상도동 김 전 대통령의 사저와 기념도서관을 경유할 예정이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경건하고 엄숙한 영결식을 통해 국민 통합과 화합의 자리가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