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고양특례시의회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 대표로 김영식 의장 성명서 발표하고 있다.
[부자동네타임즈 김인수기자] 고양시의회는 지난 30. 오전 9시 고양특례시의회 4층 영상회의실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이 이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시장을 질타하는 상명을 발표했다.
지난 6일 개의한 제270회 임시회에서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각 상임위원회의 예비 심사를 거쳐 예결위원회의 예비 심사를 거쳐 예결위원회의 예산안 심의가 마무리된 것이다.
그러나, 이동환 시장은 의회의 예산 심의권을 무시한 채 본인의 뜻때로 되지 않은 부분을 강조하며 지난 25일 기자회견에서 재의요구를 검토한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고양시의회가 지켜오려 노력한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며, 재의를 요구하겠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이에 대한 고양시의회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의 입장을 밝혔다.
김영식 고양시의장은 "2023년도 본예산 심사는 합의 정신에 기반하고 있다. 제 9대 고양시의회 의원들은 작년 7월 개원 초 역대 의회의 관례대로 본예산과 주경을 구분해 각 정당의 위원장 선임순서와 예결위 위원 수에 대해 합의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합의 정신은 흔들림 없이 준비되어 왔다. 상임위와 예결위 심사의 모든 의장결정은 만장일치 합의가 아니라면 종국에는 펴결이라는 다수결 원칙의 의회민주주의 의사결정 방식을 채택한다. 예결위에서의 신성한 의사결정 방식은 위원장과 위원이 다수가 어느 당이든 상관없이 상호 주고 받으며 환류되는 것이다. 이동환 시장이 재의요규를 검터하다는 것은 이를 무시하는 처사이다. 의회 민주주의의 숭고한 가치에 대해 생각해주기를 요구한다." 또한 "본예산 예산결산위원회에서는 삭감된 110억 원 규모는 통상적인 것이다. 이동환 시장은 무려 11억 원 규모를 삭감했다며 예산안 심의를 반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연 그런가? 과거 시장이 민주당 소속이고, 민주당 의원이 다수였던 2021년과 2022년도 본예산안 심의 결과를 보면 그렇지 안하다. 2021년도 예산안 조정 내역은 당초 편성 대비 약 190억 원 삭감됐으며 2022년도에는 106억 원 가량의 감액이 있었다. 2021년 2022년도의 상황을 보면 고양시의회 의원들은 정파에 휘둘리지 않고 고양시의 예산이 허투루 사용되지 않도록 합치 정신에 의거해 심의해왔다. 이번 2032년도 본예산 심의도 마찬가지다."라고 이동환 시장에 발언를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사진성명] 상임위원장단 성명서 발표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설명] 고양특례시에서 보낸 보도자료 이창문 대변인의 문건.
또한 지난 1월 21일 이창문 대변인은 시의회 관련 업무추진비가 10배 증액되어 통과되었다는 입장을 밝혔고, 지난 25일 기자회견에서도 인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명백한 허위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에 이창문 대변인은 30일 기자 질문에 "21일 보도자료는 본인이 작성해 배표했고 이동환 시장과는 상의 한적 없다고, 단 담당 부서에서 올라온것을 본인이 정리한것"이라는 밝히고 또한 그럼 담당 부서는 어디야는 질문에 "이대변인은 담당 부서는 말해 줄수 없다"고 밝혀 논란의 더욱 극대화 하고 있다.
고양시 언론홍보팀은 "보도자료를 받아서 오타나 문건만 수정하지 내용을 고치는 않는다."라고 본 기자에게 전했다.
김영식 고양시의장은 "이동환 시장이 언론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정말 예산안 편성에 적극적인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이동환 시장은 지난 12월 27일 본예산 심의를 위한 임시회 소집을 요구한 바 있다. 이에 국민의힘과 더블어민주당은 양당 합의를 통해 1월 6일 임시회를 개의 했다. 그런데 이동환 시장은 1월 8일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시기적으로 임시회 개의 이전에 미국 출장을 계획했을 것이고 이는 임시회 소집 요구를 한 시장으로서 무책임한 행동이다. 소집 요구 이후 15일 이내에 임시회가 소집되어야 하는데, 그 15일간은 자리를 지키며 의회와의 협치 노력이 당연한것 아닌가? 행동으로 진정성을 보여주기를 바란다. 고양특례시의회는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은 이동환 시장의 기자회견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바다."라고 날을 세우다.
고양시의회는 향후 시장은 의회의 모든 사항을 허위 사실로 유포한다면 의회 차원에서 강력한 대처를 할 것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