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9일 "폭격 부대, 지원군 등 모든 러시아 군은 아사드 정권의 지상전을 지원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시리아에 평화를 정착시키자는 유엔 결의안에 서명한 지 딱 하루만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이세제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시리아에 군사력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시리아에 평화를 정착시키자는 유엔 결의안에 서명한 지 딱 하루만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폭격 부대, 지원군 등 모든 러시아 군은 아사드 정권의 지상전을 지원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육군, 해군, 공군 등 우리의 전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최신 무기들을 사용하는지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우리 전력의 전부가 아니며 우리는 더 많은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고, 필요시 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25만명의 희생자와 수백만명의 난민을 초래한 시리아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러시아는 뜻을 모았다. 유엔 안보리는 19일 시리아 평화를 위한 로드맵을 만장 일치로 통과시켰다. 2년에 걸쳐 시리아에 평화를 정착시키자는 유엔의 로드맵은 내년 1월 정전한 후 6개월 안에 과도정부를 구성하고 18개월 내 유엔 감시 하에 선거를 치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합의안은 시리아 사태의 핵심 원인을 비껴간 것이었다. 미국과 러시아의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축출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은 알 아사드 정권 퇴출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고, 러시아는 알 아사드 정권 지지를 천명한 상태다. 정전이 되더라도 과도 정부 구성에 아사드 정권을 중심인물로 내세울 것인지, 시리아 반군을 내세울 것인지에 대해 미·러간 갈등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당장 '내년 1월 정전' 목표를 달성하는 것도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가 다수다. AP 통신에 따르면 시리아 반군측 관계자는 "정전 시한을 내년 1월로 정한 것은 무리수"라고 말했다. 반면 아사드 정권 지지자들은 "IS의 세력 확장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아사드'"라며 "아사드 정권 축출은 시리아 내 혼란과 폭력 상황을 부추길 것이고 리비아 등 주변 국가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가디언은 시리아 내 갈등이 아사드 정권과 아사드 반군을 지원하는 강대국의 무기, 군사력, 자금에 달려있어 패권 다툼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유엔 결의안에 따라 정전이 된다 해도 시리아 사태를 종식시키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