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동네타임즈 이채봉 기자] 국토교통부는 19일 서울-세종 간을 연결하는 129Km(6차선)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선 서울-안성구간(71Km)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착수하고,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안성 구간은 2016년에 착공하고 2022년 개통할 예정이다.
정부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 사업에 민간의 투자금을 활용하면서 통행료 부담도 낮추기 위해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리스크를 분담하는 손익공유형(BTO-a) 모델 등 새로운 민자사업 방식도 검토할 계획이다.
전체 사업구간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하지만 서울-안성 구간(71㎞)은 사업의 시급성을 고려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우선 착수하고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한국도로공사가 설계 등 공사절차를 진행하면서 민자적격성검토, 사업자 선정 등 민자사업 절차를 병행해 이르면 내년말 착공하고 오는 2022년 개통할 계획이다.
또 안성-세종 구간(58㎞)도 민간제안과 동시에 일반 민자사업 절차로 추진해 2020년 착공, 2025년 개통할 계획이다. 충북지역에서도 서울-세종 고속도로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기-오송간 지선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해 서울-세종 고속도로를 '스마트 하이웨이'로 구축한다.
통행권을 뽑을 필요 없이 고속주행 중에도 차량 번호판을 인식해 자동으로 통행료를 결제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과 차량과 도로, 차량과 차량 간에 사고정보, 돌발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를 도입한다.
통신기지국, 레이더 등 도로상황을 감지해 차량과 통신할 수 있는 도로인프라를 구축하고, 차량센서만 이용하는 단계를 넘어 수준 높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사업이 추진되면 그 동안 주말은 물론 주중에도 만성적인 교통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경부·중부고속도로의 혼잡구간이 60% 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행속도도 약 10㎞·h 증가해 통행시간 단축 등에 따라 연간 8400억원의 편익이 발생하고, 일자리 6만6000개, 11조원의 생산유발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통행시간은 70분대로 단축될 전망이다.
기존에는 서울과 세종을 오갈 때 평일 108분, 주말 129분 정도가 걸렸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에 추진되는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된 미래형 첨단도로로서 도로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도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나아가 미래형 첨단도로에 민간 금융기법을 결합한 맞춤형 패키지 전략으로 도로교통 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